양시영 교수님(Yang, Siyoung)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2-20 14:09본문
|
양시영 (Yang, Siyoung) |
|
직함 |
부교수 |
|
전공 |
면역학 |
|
연구실 |
퇴행성 면역 중개의학연구실(Yang Lab) 32160호 |
|
전화 |
031-290-5924 |
|
사무실 |
기초학문관 51316호 |
|
이메일 |
yangsy@skku.edu |
|
홈페이지 |
yanglab.kr |
연구실 소개 |
1. 연구분야 : 저는 Medical Unmet Need가 필요한 퇴행성질환(관절염) 및 면역질환 (천식, 아토피)을 치료하기 위해 각각 질환 유발 표적 발굴 치료제 개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.
2. 응용분야 : 1) 치료제 개발을 원하는 바이오 기업 또는 2) 바이오 기업 가치 평가 및 투자를 원하는 VC에 근무하여 본인의 연구 경력을 쉽게 적용 시킬 수 있습니다.
3. 산학협력 사례 및 취업분야 : 저희 연구실 출신은 국내 TOP5 연구중심병원에서 연구원 및 연구 교수로 근무하고 있습니다. 또한, 연구자 창업 또는 VC에 근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.
Reseach Background |
본 연구실은 복합 만성질환 치료 기반 기술을 구축하기 위해 기관내 여러 조직 (Interorgan) 이상으로 인한 복합 만성질환 제어 물질 탐색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 이를 위해 본 연구실은 크게 2가지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
Reseach Interests |
수많은 노인성 질환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질환은 관절염 입니다. 관절염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은 다양하지만,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면서 단순히 관절 노화가 아닌, 다양한 복합 만성질환에 의한 관절염 유발 현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. 이에 본 연구실은 관절염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노인성 만성질환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구축하고 자 하며, 이를 위해 본 연구실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치료후보 물질을 활용하여 복합만성질환 기인 관절염 치료 후보 물질을 개발 하고자 합니다.
• Characterization of tissue resident Treg
자가면역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조절 T 세포 (Treg)은 다양한 조직에 존재하며, 조직 특이적 조절 T 세포의 기능이 점점 밝혀지고 있습니다. 본 연구진에 의해 밝혀진 신생아 조절 T 세포 (neonatal Treg)의 경우, 성인 조절 T 세포에 비해 월등히 자가면역반응 억제 능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, 더 나아가 신생아 조절 T 세포가 발달 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조직 특이적 T 세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. 이에 본 연구진은 천식, 아토피 및 관절염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조직 특이적 세포와 조직 특이적 면역 세포간의 기능을 규명하기 위해 대학 병원 및 국내 우수 제약회사와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
Academic Employments and Education |
• 2023~ : Associate Professor,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, Sungkyunkwan University | |
• 2016~2023 : Assistant/Associate Professor, Department of pharmacology,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| |
• 2013~2016 : Researcher, Aging Intervention Research Center, KRIBB | |
• 2010~2013 : Postdoctoral Post-Doc., Dept. of Microbiology and Immunobiology, Harvard Medical School(Advisor: Diane Mathis) |
|
• 2005~2010 : Ph.D., Department of Life Science, GIST | |
• 2003~2005 : M.S., Department of Molecular Medicine, Chonnam National University | |
• 1995~2000 : B.S., Department of Food Science & Technology, Chonnam National University |
Professional Contributions |
• 2023~Present : Editorial Board Member, Pharmaceuticals | |
• 2017~Present : 지식재산기술이전심의회 심의위원, 한국식품연구원 |
Research Publications (Selected) as a corresponding author |
• Jeon J., et al. Advanced Science. 2023 accepted (IF: 17.521)
• Cho C., et al. Prussian blue nanozymes coated with pluronic attenuate inflammatory osteoarthritis by blocking c-Jun N-terminal kinase phosphorylation. Biomaterials. 2022 (IF: 15.304)
• Cho C., et al. Fructose-Derived Levan Nanoparticles Protect Against Osteoarthritis by Directly Blocking CD44 Activation. Small. 2022 (IF: 15.153)
• Sim HJ., et al. Augmented ERAD (ER-associated degradation) activity in chondrocytes is necessary for cartilage development and maintenance. Science Advances. 2022 (IF:14.972)
• Kang L., et al. Self-Assembled Hyaluronic Acid Nanoparticles for Osteoarthritis Treatment. Biomaterials. 2021 (IF: 15.304)
• Jeon J., et al. TRIM-RIP3 axis perturbation accelerates osteoarthritis pathogenesis.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. 2020 (IF: 27.973)
• Song EK., ITGBL1 modulates integrin activity to promote cartilage formation and protect against arthritis.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. 2018 Oct 10;10(462) (IF: 19.359)
• Kang LJ., et al. 3’-sialyllactose as an inhibitor pf p65 phosphorylation ameliorates the progression of experimental rheumatoid arthritis.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2018 Dec;175(23):4295-4309 (IF: 9.473)
Research Grants |
• 2022~2026 (PI) 중견연구, 한국연구재단 |
|
• 2021~2023 (PI)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, 한국연구재단 | |
• 2022~2024 (PI) 바이오소재기반 의약소재 개발/평가 및 반려동물 감염병 평가 시스템, 국가과학기술연구회 |
|
• 2022~2024 (PI) 융합항체신약 기반 퇴행성관절염 전임상 유효성 평가,한국생명공학연구원 | |
• 2017~2024 (Co-I) SRC, 한국연구재단 | |
• 2016~2024 (Co-I) 연구중심병원 중개연구사업, 보건복지부 |
Lectures |
• 면역과인체방어 : 학부, 봄학기 | |
• 바이오의약면역학 : 학부, 봄학기 | |
• 생명과학2 : 학부, 가을 학기 |
|
• 면역학실험방법론 : 대학원, 봄 학기 (격년) | |
• 분자세포실험방법론 : 대학원, 봄 학기 (격년) |
People |
|
전지민 |
|
과정 | 박사 연구원 | |
연구실 | 제2과학관 32160호 | |
전화 | 031-290-5954 | |
이메일 | jjimjeon@gmail.com | |
주저자 발표 논문 |
- Jeon J., et al. Advanced Science. 2023 accepted (IF: 17.521) - Jeon J., et al.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. 2020 (IF: 27.973) - Song EK, Jeon J., et al.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. 2018 Oct 10;10(462) (IF: 19.359) - Jeon J., et al. J Cell Mol Med.2018 (IF: 5.295) - Han SJ., et al. Pharmaceuticals. 2021 (IF: 5.215) |
|
조찬미 |
|
과정 | 박사 연구원 | |
연구실 | 제2과학관 32160호 | |
전화 | 031-290-5954 | |
이메일 | praise00727@gmail.com | |
주저자 발표 논문 |
- Cho C., et al. Biomaterials. 2022 (IF: 15.304) - Sim HJ, Cho et al., Science Advances. 2022 (IF:14.972) - Cho C., et al. J Cell Mol Med. 2019 (IF: 5.295) |
|
이혜미 |
|
과정 | 석박통합과정 | |
연구실 | 제2과학관 32160호 | |
전화 | 031-290-5954 | |
이메일 | hyemi0320@gmail.com | |
주저자 발표 논문 |
- Lee H., et al. J Cell Mol Med.. 2020 (IF: 5.295) - Lee H., et al. Pharmaceuticals. 2021 (IF: 5.215) |
|
남지호 |
|
과정 | 석박통합과정 | |
연구실 | 제2과학관 32160호 | |
전화 | 031-290-5954 | |
이메일 | yjtnng3043@g.skku.edu | |
주저자 발표 논문
|
- Nam J., et al. Pharmaceuticals. 2021 (IF: 5.215)
|
|
오은정 |
|
과정 | 석박통합과정 (파견방문학생) | |
연구실 | 제2과학관 32160호 | |
전화 | 031-290-5954 | |
이메일 | eunjeong8836@gmail.com | |
주저자 발표 논문 |
- Han SJ, Lim MJ, Lee KM, Oh E., et al. Pharmaceuticals. 2021 (IF: 5.215) - Kang LJ, Oh E., et al. Scientific Reports. 2020 (IF: 4.997) |
|
임민주 |
|
과정 | 박사과정 (파견방문학생) | |
연구실 | 제2과학관 32160호 | |
전화 | 031-290-5954 | |
이메일 | minju6021@gmail.com | |
주저자 발표 논문 |
- Han S, Lim M., et al. Pharmaceuticals. 2021 (IF: 5.215) |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